마음건강Tip

나를 지키는 거절의 기술(미안하지 않은 ‘NO’를 배우는 연습)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온나래 조회 50회 작성일 25-10-10 14:52

본문

싫다’는 말을 못 하는 착한 사람들



많은 분들이 "거절을 못 한다"고 말하지만,

사실 그 말 속엔 이런 감정이 숨어 있어요:



“거절하면 관계가 멀어질까 봐…”


“상대가 실망할까 봐…”


“나를 이기적이라고 생각할까 봐…”




그래서 우리는 자신이 감당할 수 없는 부탁에도

웃으며 "응, 알겠어"라고 말하죠.

그리고는 혼자 속상해하며

‘왜 또 나는 나를 희생했을까’ 자책하곤 합니다.


거절하지 못하면, 결국 나를 잃게 돼요


거절하지 못하고 계속해서 타인의 기대에 맞춰 살다 보면

나도 모르게 내 감정, 내 시간, 내 에너지가 고갈됩니다.



✔ 싫은데도 억지로 하는 일이 많아지고

✔ 부탁을 자주 들어주는 사람이 되어버리고

✔ 감정을 말하지 못해 쌓인 분노가 폭발하거나,

✔ 자존감이 점점 낮아지기도 해요.



거절은 단순히 “안 돼요”를 말하는 것이 아니라,

‘나의 경계를 지키는 일’입니다.

그리고 그 경계는 바로 나 자신을 지키는 첫걸음이에요.



거절이 곧 이기적인 게 아니라는 진실



‘싫은 걸 싫다고 말할 수 있는 용기’,

그건 누구보다 성숙한 관계를 만들기 위한 태도입니다.


거절은 이렇게 바꿔볼 수 있어요:



“나 이거 불편해” → “그건 내가 감당하기 어려울 것 같아”


“그렇게 못 하겠어” → “이번엔 어렵겠지만, 다음에 도와줄게”


“싫어” → “미안하지만, 나는 그렇게 하고 싶지 않아”



거절은 누군가를 밀어내는 게 아니라,

나를 존중하는 방법이에요.
나를 존중하는 사람만이,
타인도 건강하게 존중할 수 있어요.



당신은 '좋은 사람'이 아니라 '건강한 사람'이 되어야 해요

 

세상에 모든 사람의 부탁을 다 들어줄 수는 없어요.
그리고 그렇게 할 필요도 없습니다.

내 마음을 지키는 ‘NO’는 미안할 일이 아니에요.
오히려, 나 자신을 사랑하고 돌보는 가장 단단한 표현이죠.

거절은 관계를 끊는 것이 아니라,
진짜 나와 연결되는 길일지도 몰라요.



다음에 누군가의 부탁을 받았을 때,

그저 자동으로 이라고 말하기 전에
잠시 멈춰 이렇게 물어보세요:

 

나는 정말, 이걸 하고 싶은가?”
내 마음은 지금 뭐라고 말하고 있지?”

 

그 대답이 아니요라면,
그 대답 역시 충분히 괜찮고, 존중받아야 해요.

오늘도 나를 지키기 위한 작은 용기,
한 번 내어보세요.
그리고 그 용기를 당신 스스로에게 칭찬해 주세요.
잘했어, 나를 지켜줘서 고마워.”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